본문 바로가기

학점은행제/산업기사,기사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및 실기 (준비방법)

산업위생관리기사

산업위생관리기사는 작업장이나 사업장에서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그리고 기타 유해요인에 대해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며, 최종적으로 근로자의 건강과 개인위생을 보호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직무에 대한 자격증이다.

 

산업환경에 대한 관심과 근로자의 건강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 매년 응시자 수가 증가하고 있고,

2018년 9월 1일부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이 변경되었다.

이전에 50명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는 안전이나 보건관리자의 선임이 필수가 아니었지만

이제는 20명 이상 소규모 사업장도 "안전보건관리 담당자"가 필수이다

 

또한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선임을 하기 위해서는 산업위생관리기사 자격증이 필수이다.

 

 

시험 구성

국가기술자격시험은 모두 필기 / 실기로 나누어진다

먼저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는 과목별 40점 이상을 맞아야 하고,

평균을 냈을 때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마찬가지로 실기도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

따라서 자신 없는 보다는 확실하게 점수를 받을 수 있는 걸 공략해서

높은 점수를 받는 게 유리하다. 목표는 고득점이 아니라, 평균 60을 넘기고

"합격"을 하는 것.

 

  필기 실기
시험과목 ① 산업위생학개론
② 작업위생측정 및 평가
③ 작업환경관리대책
④ 물리적 유해인자관리
⑤ 산업독성학
작업환경관리 실무
시험시간 객관식(4지 택일형),과목당 20문항
과목별 30분씩 총 2시간 30분
필답형
총 3시간

 

필기

과목마다 공부방법 및 평가방법이 다르다. 따라서 출제기준이나 방식도 다른데

산업위생학개론과 산업독성학은 이론 위주이다. 암기만 하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작업환경 관리대책의 경우 계산문제가 많이 출제된다

 

시험을 공부하는 수험생들은 시험순서에 맞게 물리적 유해인자 관리를 마지막에 공부하는데

독성물질이나 산업 채취, 환기에 대한 개념을 설립하는데 중요한 과목이기 때문에

초반에 공부하는 것이 좋다.

 

과목별로 하나씩 보면,

 

산업위생학개론

총 5과목의 가장 기본과 기초가 되는 과목이라고 볼 수 있다. 위에서 얘기했듯이 대부분 암기 위주의 내용이기 때문에

고득점 하기에 좋은 과목이다. 그렇다고 무작정 암기를 하는 것보다는 이해를 바탕으로 공부하는 것이 좋다

 

작업위생 측정 및 평가

다른 과목에서 좋은 점수를 받는다고 치면, 이 과목은 평균을 냈을 때 많이 깎이지 않게 공부하는 편이 좋다

과목명 그대로 측정이나 평가에 관련된 기계적인 혹은 기술적인 부분이 나오기 때문에 문제도 까다로운 편이다.

이걸 유의해서 공부해야 하며, 농도 구하기 그리고 유해인자의 채취 및 분석방법 등을 좀 더 학습하는 것이 좋다

 

작업환경 관리대책

해당 과목은 거의 계산문제이다. 어려워하는 학생들도 있는데 공식만 제대로 이해하면서 단위를 구별한다면

충분히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양날의 검이기도 한데 공식이나 단위를 정확하게 암기하지 못했다면

반대로 아예 계산을 못해서 풀이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하게 마스터하는 게 중요하다

 

물리적 유해인자 관리

범위가 상당히 좁아 다른 과목에 비해서 공부량이 많지 않다.

내용들이 다른 과목과 다르게 복잡하지 않고, 독성물질이나 산업 채취 환기에 대한 기본 개념을 잘 이해하면서

소음에 대한 내용은 단위와 공식을 어느 정도 외우고 있다면 고득점도 가능하다.

 

산업독성학

기사에만 있는 과목이라고 볼 수 있다. 내용이 어렵고 생소하기 때문에 작업위생 측정 및 평가와 마찬가지로 평균을

세이브할 수 있을 정도로 준비하는 것이 좋다 유기 인자나 중금속 등에 대한 내용도 많아 이런 것들을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좋다 보통 수험생들은 여기서 과락을 많이 한다

 

 

실기

단답형으로 8~10문제정도 출제가 된다 그리고 계산문제가 10~12문제정도 되며

총 20문제가 나온다. 필기와 마찬가지로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나와야 한다

 

공부하면 알겠지만 레이놀즈, 동압과 속도의 관계, 압력손실, 소음, 송풍기 상사 법칙, 소요 동력 등으로

시험문제가 출제된다

 

필기과목 중 산업위생학개론, 물리적 유해인자 관리, 작업환경관리대책에서 필기와 실기 문제들이

병행해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 세 과목은 유의해야 한다

 

한 가지 팁은 시험마다 1~2개씩 초고난도의 문제들이 나올 수 있다.

모든 문제에 집중하는 것보다 시간만 뺏기고 내 페이스를 유지 못할 수 있으니,

막히면 다른걸 먼저 풀고 시간이 남으면 어려웠던걸 푸는 게 좋다.

 

 

산업위생관리기사는 산업기사보다 더 높은 자격증이기 때문에 더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 지식을 요구한다. 취득 후에는 경력을 쌓고 기사를 도전할 수 있으며

전문직에서는 자격증이 우대를 받기 때문에 계속 한 단계 더 높은걸 취득하는 것이 좋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