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 전기세 절약, 에어컨 전기요금 절약
안녕하세요
오늘은 에어컨 전기세,
요금 절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릴까 합니다
매년 여름만 되는 전기요금 폭탄 맞을까 봐
두려워서 어떻게 하면 되는지 검색하곤 하시죠?
하지만 여러 군데를 찾아봐도
어디는 "에어컨을 처음에 세게 틀었다가 끄라"
라고 하고, 또 어디는
" 껐다 켜면 전기요금 많이
나오니 그냥 두라고"라고 하고
어떤 게 맞는 건지?
혹은 잘못된 방법으로
하고 계신 분들을 위해서
에어컨을 켜길 망설이는 분들에게
딱 알려드리겠습니다
1. 전기요금 절약하는 방법? 에어컨마다 다르다!
이렇게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뉘는 이유는
바로 에어컨의 종류가 두 가지 이기 때문입니다
구형 에어컨인 "정속형"이냐
신형 에어컨인 "인버터"이냐의 차이인데요
그렇다면 이 둘은 뭐가 다를까요?
일단 에어컨에서 정속형이란
꺼짐과 켜짐이 반복되는 겁니다
전원을 켜면 켜지고
반대로 끄면 작동이 중지됩니다
하지만 인버터는
켜진 상태에서 절전모드로
작동이 됩니다
그래서 정속형은 실내가 더우면
실외기가 빠르게 돌다가 희망온도만큼 시원해지면
실외기가 꺼지고, 실내가 다시 더워지면
빠르게 돌기를 반복합니다
반면 인버터는 희망온도만큼 시원해지더라도
실외기가 아예 꺼지지 않고 절전모드를 유지하며
천천히 꾸준하게 계속 돌아가죠
이런 차이 때문에 두 에어컨은
각각 전기요금 아끼는 법이 다르답니다
우리 집 에어컨이 정속형이라면,
"처음에 세게 틀었다가 끄는" 방법으로
해야 됩니다
2시간은 세게 틀고, 다음 2시간은 에어컨을
완전히 끄고 이런 식으로 반복하는 거죠
12시간 내내
틀었을 때 = 234 kWH = 295700₩
vs
2시간 반복으로 틀고 끌 때
117 wWH = 8530₩
약 70% 정도가 절감됩니다
(6평형 에어컨 기준
한전 전기요금 , 주택용 저압 기준)
우리 집 에어컨이 인버터라면
계속 켜 두는 게 전기요금 아끼는 길입니다
실제로 12시간 내내 틀어두는 게
2~3시간 간격으로 ON/OFF를 반복하는 것보다
예상 전기료가 35% 더 낮았습니다
우리 집 에어컨 종류 확인하는 법
우선, 5년 이내로 장만했다면
인버터일 가능성이 높아요 2010년부터는
거의 모든 신형은 인버터로 생산되고 있어요
하지만 잘 모르시거나 이미 옵션으로
설치되어 있다면 아래 3가지 방법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실내기에 Inverter라는 말이 써져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2. 모델명을 안다면 검색해보세요
해당 모델의 상세페이지에 초절전,
듀얼 인버터 등으로 적혀있는지 보면 됩니다
3. 에너지 소비효율등급이 5등급이라면,
실내기에 이렇게 5등급이라고 붙어있고,
인터버라는 말이 어디에도
안 들어 있다면 정속형입니다
이렇게 에어컨이 어떤 종류인지 확인하시고
거기에 맞게 가동해서
다들 에어컨 요금 절약하세요~
반응형
'꿀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우리말사전 사용 방법 (우리말 샘) (0) | 2022.03.25 |
---|---|
발표 잘하는 방법 총정리 (0) | 2022.03.23 |
잠 잘 자는법, 잠 안올때 어떻게 해야할까? (0) | 2021.10.21 |
네이버 메일 다운로드 기간 정확하게 알아보자 (0) | 2021.10.19 |